회복적 정의와 피스빌딩 Restorative justice and peacebuilding l April 20, 2009 by Howard Zehr

관리자
2025-06-05
조회수 23



회복적 정의와 피스빌딩 Restorative justice and peacebuilding

April 20, 2009 by Howard Zehr





제 동료 리사 쉬르치(Lisa Schirch)가 『전략적 평화 구축의 작은 책(The Little Book of Strategic Peacebuilding)』에서 제시했듯이, Center for Justice and Peacebuilding (이하 CJP) 에서는 정의롭고 평화로운 사회에 기여하는 다양한 활동 분야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평화 구축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동료 배리 하트(Barry Hart)는 이를 설명하기 위해 휠 다이어그램을 사용합니다. 각 세그먼트 또는 스포크는 평화 구축 허브를 지원하는 방식입니다. 궁극적인 목표는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갈등을 건전한 방식으로 처리하는 정의롭고 평화로운 사회입니다. 배리 하트의 다이어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배리 하트의 평화 구축 휠 그래픽>




갈등은 특정 맥락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평화 만들기(peacemaking)" 대신 "평화 구축(peacebuilding)"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갈등을 해결하고 평화로운 공동체를 구축하려면 갈등으로 이어지는 맥락을 이해하고 평화를 증진하는 맥락을 조성해야 합니다. 창립 이사인 존 폴 레더락(John Paul Lederach)의 말처럼, 갈등을 종식시키는 데는 갈등을 만드는 데 걸리는 시간만큼 시간이 걸립니다. 진정한 평화는 단순히 갈등을 종식시켜 평화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평화를 위한 기반 시설을 구축하는 것을 요구합니다.


우리는 갈등이 정상적인 현상이며 종종 성장의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상기시키기 위해 "해결"이라는 용어 대신 "전환"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갈등이 발생하는 관계적, 제도적 맥락을 분석하고 해결하며, 갈등을 관리하고 학습과 쇄신을 촉진하는 건강한 맥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갈등은 기회입니다. 낭비하지 마세요."라는 슬로건이 있습니다.)


CJP는 트라우마 인식 및 치유, 갈등전환, 회복적 정의라는 세 가지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그 외에도 건강한 조직과 지역사회 개발이 여러 보조 분야에 포함됩니다. 이러한 각 분야와 다른 평화 구축 활동은 배리의 바퀴(Barry's wheel)의 중심축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각 분야는 건강하고 정의로운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하고, 회복하는 데 관한 것입니다. 각 분야는 이 목표를 향해 각자의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평화 구축 분야에 대한 회복적 정의의 기여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정의와 불의의 문제가 갈등의 핵심이며, 갈등을 관리하고 평화로운 공동체를 구축하려면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는 인식.
  • 규칙보다는 사람과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춘 잘못된 행위에 대한 관계적 이해.
  • 해악이나 잘못이 발생했을 때 우리를 인도하는 일련의 원칙. 간단히 말해, 이는 배상, 책임, 그리고 참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갈등 해결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기술을 사용하지만, 관련된 해악과 그에 따른 의무를 명시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실천 방식. 여기에는 피해자-가해자 회의, 가족 또는 회복적 집단 회의, 그리고 아마도 가장 강력하고 널리 적용될 수 있는 순환 과정이 포함됩니다. (후자는 특정 잘못을 해결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의 의사 결정 및 발전에도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 과정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건강한 관계의 근간이 되는 핵심 가치에 대한 명확한 근거. 여러 가치가 자주 거론되지만, 저는 이러한 핵심 가치를 세 가지 "R", 즉 존중(Respect), 책임(Responsibility), 그리고 관계(Relationships)로 정의합니다.


회복적 정의를 잘못을 해결하는 방식으로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원칙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회복적 정의의 근간에는 세 가지 가정이 있습니다.

  • 사람과 관계가 피해를 입으면 욕구가 발생합니다.
  •  피해로 인해 발생하는 욕구는 의무로 이어집니다.
  • 의무는 피해를 치유하고 "바로잡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정의로운 대응입니다.


회복적 정의의 세 가지 원칙은 이러한 가정을 반영합니다. 정의로운 대응은…

  • 잘못으로 인해 발생하고 드러난 피해를 인정하고 복구합니다(복구).
  •  필요를 해결하고 피해를 복구할 적절한 책임을 장려합니다(책임성).
  • 지역사회를 포함하여 영향을 받은 사람들을 해결 과정에 참여시킵니다(참여).


세 가지 근본적인 가치가 그 토대를 제공합니다.

  • 존중 Respect
  • 책임 Responsibily
  • 관계 Relationship


회복적 정의의 핵심은 세 가지 질문입니다.

  • 누가 피해를 입었는가?
  • 그들의 욕구는 무엇인가?
  • 누가 그들의 욕구를 해결하고, 피해를 바로잡고, 관계를 회복할 의무가 있는가? (어떤 규칙을 어겼는가? 누가 어겼는가? 그들은 무엇을 받을 자격이 있는가?와는 대조적으로)


다음 세 가지 이해관계자 집단을 고려하고/또는 참여시켜야 합니다.

  • 피해를 입은 사람들과 그 가족
  • 피해를 입힌 사람들과 그 가족
  • 공동체


회복적 정의를 이끄는 세 가지 열망: 올바른 관계 속에서 살고자 하는 열망…

  • 서로 with one another;
  • 창조물과 with the creation;
  • 창조주와 with the Creator.




원문보기

KOPI 회복적정의교육센터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궁촌로 25 피스빌딩 (12269)

T: 031-521-8697  /  F: 031-521-8695  /  E: admin@kopi.or.kr

© KOPI 회복적정의교육센터. ALL RIGHTS RESERVED